중위소득이란 평균값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평균값은 고액 소득자와 하위 소득자간의 간격 때문에 자칫 왜곡될 우려가 커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평균소득이라는 개념은 중위소득을 이용해야 합니다.
2023년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
너무 작아서 잘 안보일 수 있습니다.
1인가구 : 2077892
2인가구 : 3456155
3인가구 : 4434816
4인가구 : 5400964
5인가구 : 6330688
6인가구 : 7227981
입니다. 가구 인원수가 늘어난다고 해서 소득이 많이 늘어나지는 않는 모습입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어렵다고 해도 중위소득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중위소득이 증가한다는건 고액연봉자가 늘어난다는 의미도 아니고 하위 계층이 더 많아졌다는 의미도 아닌, 정말 중간에 있는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난다는 것이니 굉장히 좋은 추세라고 보여집니다.
월급이 안오른다 안오른다 해도 결국엔 월급이 오르고 있다는 뜻이죠 ^^; 다만 1인가구의 평균소득이 207만원 가량밖에 안된다는건 참;; 2인가구는 340만원.. 이건 뭐; 저출산이다 저출생이다 아무리 외쳐도 결국 1인가구의 소득이 올라야 1인가구가 합쳐져서 2인가구가 되는것이고 2인가구가 아이를 낳으면 3인가구가 되는 것인데 소득이 이렇게 낮으니 앞으로 저출산, 저출생은 지속될 듯 합니다.
그럼에도 우리 2023년은.. 힘내보아요.. 아자!!
728x90
'일상다반사 > 흥미진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 중립 포인트 녹색 생활 실천 참여 방법, 인센티브 수령 후기 (Feat.스타벅스, GS25, 메가커피 등등) (1) | 2023.05.08 |
---|---|
23년2월6일부터 바뀌는 티스토리 광고정책 (0) | 2023.02.07 |
챗GPT의 명확한 한계점과 인공지능에 대한 고찰 (0) | 2023.02.05 |
발굳은살, 발각질 없애는 방법, 바세린이 정답이었다. (0) | 2023.01.31 |
수면제 처방 받는 방법, 수면제 처방 받는 병원 (0) | 2023.01.28 |
티타늄 프라이팬과 다이아몬드 프라이팬 차이 총 정리 (0) | 2023.01.26 |
자동차 배터리 방전 대처 방법 총 정리 (0) | 2023.01.24 |
스틸녹스정10mg과 스틸녹스CR정6.25, 12.5의 차이 (0)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