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이 들려옴. 엥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이라고 생각했는데 역시나 기업이 매수한게 아니라 임원진들이 자발적으로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했다는 소식임. 같은 표현이지만 결이 좀 다른 말인데 어쨌든 임원들의 자사주매입이 주가에 어떤 효과를 내는건지 알려드리겠음.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함.
✅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다른 개념이며 이 뜻을 정확하게 알고가야 함. 아래에서 시작.
목차
자사주 매입 소각 차이점 정리
자사주 매입과 소각의 차이점은 아래 글에서 정확하게 정리해놨음.
매입을 했냐 소각을 했냐에 따라서 기업 가치 상승분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이 차이점을 알고 가야 함. 참고로 이번에 삼성전자가 한 것은 임원들의 자사주 매입이고, 애플이 꾸준히 진행하는 것은 자사주 소각임. 매입과 소각은 아예 다른 개념임.
✅ 그럼 자사주 매입은 어떤 효과를 불러오길래 삼성전자가 매입을 했냐?
단기적 자사주 매입 효과
자사주 매입은 일단 '주가 상승'을 유도함. 자사주 매입을 하면 공급은 줄이고 수요는 늘릴 수 있음. 단순하게 생각해서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를 줄이기 때문에 공급이 줄어들고 공급과 수요 법칙에 의해 가격이 오르는 것임.
수요는 어떻게 오르는가? 자사주를 매입하게 되면 주식 수가 줄어들게 되고 주당 순이익(EPS)가 증가하게 되는데 숫자상 EPS증가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어!? 얘네 수익이 좋아졌네?! 라고 느끼게 만들엇 수요를 증가시킴.
그!러!나! 삼성전자 같은 경우에는 주식 수가 워낙 많고 시가총액이 거대하기 때문에 이번 자사주매입은 위와 같은 공급과 수요 효과가 없을 것으로 예상함. 삼성전자가 노리는 것은 신뢰도 향상임. 신뢰도 향상이 뭔 말이냐?
기업 내부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임원들이 주식을 샀다고!? 어? 그럼 나중에 호재가 생길거라는 소리인가? 재빠른 매수 ㄱㄱㄱ
라는 신호를 주는 것임. 현대차가 코로나 때 이 덕을 톡톡히 봤음.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와 HBM메모리 테스트를 진행중인데 최근 실패냐 성공이냐로 주가가 지지부진하고 있음. 임원들이 자사주를 매수하면서 성공할거야! 라는 강력한 신호를 보내는 것임. 이처럼 꼭 주식 수를 줄인다는 개념 보다는 '기업 운영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하기 위해 자사주를 매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삼전 주주들은 부글부글 하는 중.. 옆 동네 SK하이닉스는 날라가는데 말이지)
💣 솔직히 맘 편하게 돈 벌고 싶으면 국장 빨리 때려치고 미장으로 오는게 속 편하실듯..? 엔비디아 2000달라 간다잉 ㅋㅋ
장기적 자사주 매입 효과
자사주 매입 효과가 장기적으로도 갈거냐는 또 다른 문제임. 위 말처럼 공급과 수요 법칙이나 기대심리에 따라 주가가 잠시 상승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모두 묻히는 이슈일 뿐임. 이러쿵 저러쿵 해도 결국 주가는 실적이 결정하게 되는 것.
에코프로비엠의 주가가 최근 고점 대비 토막토막이 나는 이유도 실적임. 최고점일 때는 현재 엔비디아마냥 10년 뒤에는 매출액이 얼마고 영업이익이 얼마고 어쩌구저쩌구를 시전했는데 최근 실적을 까보니까 이건 영업이익 적자가 날 것 같은데? 라는 소리가 나오니 주가가 떡락 할 수 밖에 없는 것임.
결국 기업의 주가는 '실적'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며 자사주 매입은 그저 지나가는 바람일 뿐임. 실적이 좋아지지 않으면 기업 주식은 결코 장기적 우상향 하지 않음. 그런데 삼성전자는 실적도 좋아지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자사주 매입을 한 이유
삼성전자의 실적을 잘 보면 꽤 좋아지고 있다 라는 것을 알 수 있음. 실적이 좋아지고 있는데 굳이 이 시점에 자사주 매입을 한 이유는 시장에 '자신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이 가능함.
✅ 2023년부터 현재까지 삼성전자 실적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음
분기 | 매출액 (억 원) |
영업이익 (억 원) |
당기순이익 (억 원) |
영업이익률 (%) | ROE (%) | 부채비율 (%) | 시가배당금 (원) |
2023 Q1 | 637,454 | 6,402 | 15,746 | 1 | 2.47 | 26.21 | 361 |
2023 Q2 | 600,055 | 6,685 | 17,236 | 1.11 | 2.87 | 24.8 | 361 |
2023 Q3 | 674,047 | 24,335 | 58,442 | 3.61 | 8.67 | 24.89 | 361 |
2023 Q4 | 677,799 | 28,247 | 63,448 | 4.17 | 9.36 | 25.36 | 361 |
2024 Q1 | 719,156 | 66,060 | 67,547 | 9.19 | 9.39 | 26.61 | 361 |
삼성전자는 분명 23년 1분기부터 지금까지 영업이익만 10배 가까이 상승했음. 그런데 주가는 왜 못 오르냐고? 10만전자를 가니 마니 할 때 영업이익을 아직 회복하지 못해서 그런 것임.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입을 통해 앞으로 '10만전자 때의 영광을 회복할 거다!!' 라는 자신감을 보여주면서 투자 수요를 끌어올 계획인 것임. 이재용 회장님이 큰 그림이 아닐까 싶은데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 임원들이 자기돈 주고 산 이유가 있지 않을까? 자사주 매입 총액은 11억원 정도라서 큰 규모는 아니다만.
바이오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은 적신호
자사주매입을 좋게 이용하는 기업도 있지만 나쁘게 이용하는 기업들이 많음. 특히 한국 바이오 기업은 자사주 매입을 홍보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아서 조심해야 함. 바이오 기업들을 잘 보면 내가 자사주를 매입할 정도로 자신감이 넘친다!! 라는 스탠스를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 봐야 함.
회장님 연봉이 2억인데, 자사주 매입을 3억 했다? 좋은걸까? 일단 자사주 매입은 매수자 입장에서 주가가 바닥이라고 생각되거나 or 향후 주가가 크게 오를것 이라고 생각될 때 매수하게 됨. 다르게 생각하면 매수자는 어차피 주가가 바닥일 때 샀으니 별 손해는 아니니까 샀다는 것일 수 있음.
회장님 연봉이 2억인데 3억 정도 자사주를 매입해서 주가도 올리고 이미지도 좋아지고 주주들도 잠재울 수 있다면 싸게 먹힌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임. 바이오 기업들의 이런 행태는 한 두번 있는게 아니니까 조심하시길.
마무리하며
자사주 매입에 대해 긴 글을 썼는데, 이번 글을 통해서 자사주 매입 효과와 자사주 매입을 기업들이 어떻게 이용하는지 알아갔으면 좋겠음. 끝.

'일상다반사 > 돈이 중요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관련주 대장주 TOP3 총 정리, 국내기업 중심 소개함. (0) | 2024.06.09 |
---|---|
ESS 관련주 대장주 TOP3 종목만 정리함. 돈 벌어보자! (1) | 2024.06.09 |
2차전지 관련주 대장주 TOP3가지 정리. 24년 6월 기준임 (0) | 2024.06.09 |
대북 확성기 관련주 단 하나만 고르자면 이 종목(2개 더 정리) (1) | 2024.06.09 |
자사주 매입 소각 차이점 정확히 정리. 주가에 미치는 영향 (1) | 2024.06.09 |
경기패스 교통카드 조건 및 신청방법 총 정리 해봄! (0) | 2024.06.09 |
에코앤드림 주가전망 전구체 출하 시작, 쇼티지 이슈 총 정리 (3) | 2024.06.07 |
KT&G 주가 분석 및 전망|배당금 정보와 실적부진 이슈 총 정리 (1) | 2024.06.07 |